본문 바로가기
건강포스팅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트라우마 극복에 관하여

by 맛객뚱이 2023. 1. 24.

지난 29일 이태원참사로 친구를 잃고 홀로 남겨진 고등학생이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하였다. 지난 달 살아남은 이태원의 많은 사람들은 그날 군중 속에 갇혀서 생명을 위협하는 육체적 스트레스를 두려워했다. 일시적으로 탈출하여 목숨을 구한 사람들의 안도감, 그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희생되지 않은 것에 대한 죄책감, 삶에 대한 죄책감. 공포, 공포, 슬픔 등 복잡한 감정들이 재난 현장에서 시신들을 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태원 참사의 여파는 많은 이들에게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남겼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란?

견딜 수 없는 위협과 삶의 두려움에 직면하여 자신을 방어할 수 없다면, "생존 방식"을 선택하는 것은 진보된 각성 상태에서 단기간에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시도이다. 트라우마는 과도한 경계, 재경험 또는 침략, 정서적 도피 또는 심리적 마비를 나타낸다. 과도한 심리적 반응은 사건 발생 후 안전한 상황에서도 놀라움, 불안, 불면증, 집중이 어려운 증상이다. 이태원 트라우마 생존자는 성폭력 피해 여성이 가해자를 지나치게 경계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갑작스런 두려움과 업무나 수업에 집중하기 어렵다고 호소했다. 충격을 다시 경험하는 증상은 기억, 꿈, 사건의 환각, 진실과 신체적 증상을 재현하는 것이다. 소리, 냄새, 정보를 통해 자신의 상황과 환경에 자극을 받으면 과도한 불안 반응이 나타난다. 실제 외상의 경우 신체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생존자들은 종종 비현실적인 감정, 분노, 피해, 수치심을 경험한다. 그들은 종종 술이나 약물에 중독되어 이러한 감각을 피한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이태원이나 세월호 사건 같은 일회성 외상을 경험한 뒤 생기는 급성 또는 단순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오랜 기간을 통해서 반복적으로 발생해서 생기는 후유증인 복합 스트레스 반응 두 가지로 분류한다.

급성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실제 죽음이나 죽음의 위협에 대한 사건들을 경험하거나 심하게 다친 경우 또는 자신과 다른 사람의 신체적 온전성에 대한 위협을 경험, 목격하거나 직접 직면한 경우다.

2) 사건에 대해 강한 두려움, 무력감, 혹은 공포 경험 등의 반응을 경험한다.

3) 그 외상 사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재경험을 한다.
-사건에 관한 영상, 사고 혹은 지각을 포함하는 사건이 반복적으로 떠오른다.
-사건에 관해 악몽을 꾼다.
-외상 사건이 실제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행동하거나 그 경험이 되살아나는 기분, 착각, 환각을 느낀다.
-현실감을 상실한다. 이 상태에서 현실에서 달아나거나 안정을 찾아 술이나 마약에 의존할 수도 있다.

4) 외상과 연관된 자극을 지속적 회피하려고 시도하고, 그 자극에 대한 반응의 둔화 현상이 새롭게 나타난다. 다음 가운데 세 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난다.
-외상과 관련된 사고, 느낌, 혹은 대화를 피하려고 노력한다.
-외상에 대한 회상을 일으키는 활동, 장소 혹은 사람을 피하려고 노력한다.
-외상의 중요한 측면을 회상하거나 기억할 수 없다.
-중요한 활동에서 흥미를 잃거나 참여하기 싫어진다.
-다른 사람들에서 동떨어지거나 격리된 느낌을 가진다.
-감정이 경직되고 제한된다. 예를 들어 사랑이란 느낌을 가질 수 없다.
-직업, 결혼, 자녀 또는 정상적 수명 등 가까운 미래 일에 대한 기대가 사라지거나 줄어든다.

5) 외상 전에 없던 각성이 지속하는데 다음 가운데 두 개 이상 나타난다.
-잠을 청하기 어렵거나 수면 곤란을 경험한다.
-과도하게 흥분하거나 분노의 표출이 과격하게 일어난다.
-직장 또는 학업 중에 백일몽을 꾸거나 주의집중장애를 일으킨다.
-주위에 대해서 과도한 경계심을 드러내고 과도한 각성 상태를 유지 한다.
-트라우마에 관련된 사소한 자극에도 과도하게 놀란다. .

이태원 트라우마 사건이나 또는 다른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해서 위 증상 중 2가지 이상을 경험했다면 급성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겪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다행히 건강한 성인은 이러한 스트레스 반응이 지속되다가 대체로 한 달 안에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오거나 증상이 감소하고 회복된다.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 반응이 한 달 이상 지속되면서 일상생활이나 직업에 지장을 받는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출처: 코메디닷컴

댓글